- [ 언어·프레임워크/Node.js ][Node.js] 배치 프로그램에 강력한 로깅, Winston 적용하기2025-06-04 15:05:51Node.js 배치 프로그램에 강력한 로깅, Winston 적용하기Node.js 기반의 배치 프로그램을 운영하다 보면, 특정 시간에만 실행되는 코드의 오류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때 정확하고 체계적인 로그 기록은 문제 진단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핵심 요소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ode.js 로깅 라이브러리인 Winston을 사용하여 배치 프로그램에 강력한 로그 기록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소개한다.1. Winston, 왜 선택해야 할까?Winston은 Node.js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로깅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유연하고 확장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전송(Transports)" 방식을 지원하여 개발 및 운영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주요 특징다양한 전송 방식..
- [ CS/DBMS ][Sequelize] `ConnectionAcquireTimeoutError` 해결: 트랜잭션과 연결 풀 관리 팁2025-06-02 23:49:11Sequelize ConnectionAcquireTimeoutError 해결: 트랜잭션과 연결 풀 관리 팁이 블로그 게시물은 Sequelize를 사용할 때 마주칠 수 있는 ConnectionAcquireTimeoutError 문제와 이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1. ConnectionAcquireTimeoutError는 무엇인가?ConnectionAcquireTimeoutError는 Sequelize가 데이터베이스 연결 풀에서 새로운 연결을 확보하는 데 정해진 시간(타임아웃) 내에 실패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연결 풀 고갈: 데이터베이스에 동시에 너무 많은 쿼리가 실행되어 모든 연결이 사용 중이거나, 사용된 연결이 제때 반환되지 않는 경우..
- [ etc./... ]VSCode에서 Mermaid Chart로 다이어그램 그리기: 개발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2025-06-02 17:02:11VSCode에서 Mermaid Chart로 다이어그램 그리기: 개발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개발 과정에서 시스템 구조나 프로세스를 시각화해야 할 때가 있다. 복잡한 그래픽 도구 대신 코드로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Mermaid Chart는 바로 그런 니즈를 충족시켜주는 강력한 도구이다.Mermaid Chart란?Mermaid는 텍스트 기반의 다이어그램 생성 도구이다. 마크다운과 유사한 문법을 사용해 다양한 종류의 차트와 다이어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플로우차트, 시퀀스 다이어그램, 간트 차트, 클래스 다이어그램 등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어 개발자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다.VSCode Mermaid Extension 설치1. Extension 설치VSCode에서 Extensions 탭(Ct..
- [ 언어·프레임워크/Python ][Python] concurrent.futures: GIL, 동시성, 병렬성 완전 정복2025-05-27 10:28:51Python concurrent.futures: GIL, 동시성, 병렬성 완전 정복Python에서 멀티스레딩과 멀티프로세싱을 다룰 때 가장 혼란스러운 개념 중 하나가 바로 GIL, 동시성, 병렬성이다. 특히 concurrent.futures 모듈의 ThreadPoolExecutor와 ProcessPoolExecutor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워하는 개발자들이 많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을 명확히 정리하고,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다.GIL(Global Interpreter Lock)이란 무엇인가GIL은 Python 인터프리터의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로,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Python 바이트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뮤텍스이다. 이는 Python의 메모리 관..
- [ 언어·프레임워크/React.js ][React.js] 메모이제이션 완벽 가이드: memo, useCallback, useMemo와 Profiler 활용2025-05-25 21:09:54React 메모이제이션 완벽 가이드: memo, useCallback, useMemo와 Profiler 활용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는 사용자 경험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리렌더링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React의 메모이제이션 기법들과 Profiler를 활용한 성능 분석 방법을 실제 예제를 통해 살펴본다.React Profiler 소개React Profiler는 컴포넌트 렌더링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개발자 도구의 Profiler 탭뿐만 아니라, 코드 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Profiler 컴포넌트도 제공한다.Profiler 컴포넌트 사용법import { Profiler } from ..
- [ 언어·프레임워크/React.js ][React.js] `useEffect`와 `useLayoutEffect`의 차이: 깜박임 현상과 중간 값 노출2025-05-23 01:18:24React에서 useEffect와 useLayoutEffect의 차이: 깜박임 현상과 중간 값 노출Reac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useEffect와 useLayoutEffect라는 두 가지 훅을 자주 만나게 된다. 두 훅 모두 컴포넌트 렌더링 후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쓰이지만, 실행 시점에 미묘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특히 상태값이 연속적으로 빠르게 변경될 때 "화면 깜박임"이나 "중간 값 노출"과 같은 시각적인 현상으로 나타난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간결한 예제를 통해 두 훅의 동작 방식과 그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한다.useEffect와 useLayoutEffect는 무엇인가?useEffect는 React의 모든 DOM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 그리고 브라우저가 화면을 그린 후..
- [ AI/AI와 일하기 ][LLM] 대규모 임베딩 검색의 핵심, FAISS 알아보기2025-05-15 11:41:25대규모 임베딩 검색의 핵심, FAISS 알아보기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임베딩(Embedding)은 데이터를 벡터 형태로 표현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벡터 공간에 표현함으로써 데이터 간의 유사성을 계산하고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지면, 이 임베딩 벡터들 중에서 특정 벡터와 가장 유사한 벡터들을 빠르게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FAISS와 같은 고성능 벡터 검색 라이브러리이다.1. FAISS와 임베딩의 만남임베딩: 앞서 설명했듯이, 임베딩은 복잡한 데이터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수치형 벡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의미적으로 유사한 데이터는 벡터 공간에서 서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 [ 언어·프레임워크/React.js ][React.js] 네이버 지도 API 마커 중앙 정렬과 레이어 제어2025-05-14 19:55:18네이버 지도 API 마커 중앙 정렬과 레이어 제어웹 인터페이스를 개발할 때 요소들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따라 요소들의 표시 순서를 바꾸는 것은 중요한 사용자 경험 요소이다. 이번 글에서는 CSS를 사용한 절대 위치 요소의 정밀한 중앙 정렬 기법과, React 컴포넌트 상태에 따라 네이버 지도 마커의 표시 레이어(z-index)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1. 절대 위치 요소의 정확한 중앙 정렬 기법CSS에서 position: absolute와 left: 50% 또는 right: 50%를 함께 사용하여 요소를 가로 중앙에 배치하려 할 때, 요소가 화면 중앙에서 미묘하게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는 left: 50%가 요소의 왼쪽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