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dy Now!
  • 게시글 대표 이미지 썸네일 주소
    [ 프로젝트/[팀] 겸상 - 혼밥 매칭 ]
    [팀] 겸상 - CSS의 z-index로 HTML요소에 우선순위 부여하여 sticky 적용한 요소를 화면 전면에 위치시키기
    2022-06-20 18:56:10
    포토샵에서 레이어의 위치를 조정하듯 원하는 HTML 요소를 화면에서 가장 위쪽에 보이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림 1]의 "함께할 숟갈"에 sticky를 적용하여 스크롤을 내리면 화면 최상단에 고정되게 하였다. 그런데 "함께할 숟갈"이 화면의 전면에 위치하지 않고 뒤로 숨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원했던 결과는 "함께할 숟갈"이 [그림 3]과 같이 화면의 가장 앞쪽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때 z-index를 이용하여 HTML 요소에 우선순위를 지정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었다.
  • [ 언어·프레임워크/Spring ]
    [스프링][문제해결] MariaDB와 log4jdbc 관련 에러
    2022-06-19 00:26:43
    구멍가게 코딩단의 책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개정판)"으로 Spring legacy project 실습을 하고 있다. 책에서는 Oracle DB로 실습하도록 되어 있는데 지난 부트 캠프 때 설치한 MySQL을 활용하여 실습하고 있다. MySQL은 MariaDB와 설정이 같아서 실습 중인 프로젝트에는 MariaDB로 세팅하여 진행 중이다. Chapter 08의 "영속/비즈니스 계층의 CRUD 구현"에서 영속 계층의 구현 준비 실습 중 톰캣 서버 구동 시 아래의 에러가 발생했다.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defined in ServletCont..
  • 게시글 대표 이미지 썸네일 주소
    [ 언어·프레임워크/Vue.js ]
    [Vue.js][문제해결] error Delete `␍` prettier/prettier
    2022-06-17 17:42:44
    팀 프로젝트를 깃허브에서 Pull 하고 실행했는데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포함된 에러가 발생했다. 이 문제는 OS별로 줄 바꿈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한다(macOS와 Linux는 LF, 윈도우는 CRLF가 기본값). prettier 2.0 이상에서는 LF를 사용하는데 윈도우에서는 엔터 키를 누를 경우 CRLF 방식으로 줄 바꿈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error Delete `␍` prettier/prettier .eslintrc.js 파일에 아래 코드를 [그림 1]과 같이 추가하면, npm run serve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 endOfLine: "auto" 하지만 component의 코드 작성 후 저장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에 추가하여 "Ctrl + ,"로 설정 진입 후..
  • 게시글 대표 이미지 썸네일 주소
    [ 언어·프레임워크/Spring ]
    [스프링][문제해결] org.apache.ibatis.binding.BindingException: Invalid bound statement (not found):
    2022-06-15 17:50:06
    MyBatis 연동을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진행한 실습은 성공하였으나 xml 파일을 이용한 경우에는 계속 [그림 1]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org.apache.ibatis.binding.BindingException: Invalid bound statement (not found): 원인은-mapper 파일인-xml 파일이 있는 경로를 잘 못 지정했기 때문이었다. 그 밖에도 mapper interface의 method명과 xml파일의 id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이러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로 한 시간을 날렸다!
  • 게시글 대표 이미지 썸네일 주소
    [ 언어·프레임워크/Spring ]
    [스프링][문제해결] Resource specification not allowed here for source level below 1.7 에러 해결
    2022-06-15 13:04:27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 Resource specification not allowed here for source level below 1.7 [그림 1]과 같이 Java Build Path > Libraries > JRE System Library [JavaSE-1.6] 더블 클릭한 후-나의 경우 1.8 버전이므로-1.8 버전으로 변경하면 된다.
  • 게시글 대표 이미지 썸네일 주소
    [ 언어·프레임워크/Spring ]
    [스프링][문제해결] "11 or greater is required" 에러로 인해 STS가 실행 되지 않는다면
    2022-06-13 19:23:23
    STS 실행 시 [그림 1]과 같이 에러가 발생하면 sts.ini 파일에서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의 값 11을 -Dosgi.requiredJavaVersion=11 다음과 같이 1.8로 변경, 저장 후 실행하면 [그림 2]와 같이 STS가 정상적으로 시작된다. -Dosgi.requiredJavaVersion=1.8
  • [ 언어·프레임워크/Spring ]
    [스프링][문제해결] Spring Legacy Project 작업을 위한 STS 버전은 3.9.14를 추천
    2022-06-13 19:07:41
    STS 4.8.1에서 Spring Legacy Project를 생성하여 진행하던 중 XML의 namespace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오랜 시간 구글링을 하였지만 해결할 수 없었고, 결국 구멍가게코딩단 카페에서 원하는 해결책을 얻을 수 있었다. 해당 카페에서는 "최신 STS에서 XML의 네임스페이스 탭이 보이지 않는다면 STS버전을 낮추시는게 좋다"고 하였다(https://cafe.naver.com/gugucoding/6282). 추천하는 STS 버전은 3.9.14이며 아래의 URL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s://github.com/spring-projects/toolsuite-distribution/wiki/Spring-Tool-Suite-3 GitHub - spring-projec..
  • 게시글 대표 이미지 썸네일 주소
    [ 언어·프레임워크/Spring ]
    [스프링][문제해결] 톰캣 실행시 에러, Tomcat admin port 번호를 8005로 수정하여 해결
    2022-06-11 23:22:58
    스프링 톰캣 설정 중에 [그림 1]과 같은 에러를 만났다. [그림 1] 에러에 대한 Details the server cannot be started because one or more of the ports are invalid. open the server editor and correct the invalid ports. 해결 방법은 Tomcat admin port 번호를 8005로 수정한 후 저장(ctrl+s)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