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S/Linux ][Linux] 크론(Cron) 표현식 완벽 가이드: 자동화 작업 스케줄링 마스터하기2025-03-19 11:12:20크론(Cron) 표현식 완벽 가이드: 자동화 작업 스케줄링 마스터하기크론(Cron)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특정 작업을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예약하는 시간 기반 작업 스케줄러이다. 크론 표현식을 이해하면 시스템 관리, 데이터 백업, 정기적인 알림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크론 표현식의 모든 것을 상세히 설명하고, 다양한 예시와 활용법을 제공한다.1. 크론 표현식의 구조크론 표현식은 공백으로 구분된 5개 또는 6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각 필드는 특정 시간 단위를 나타내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초 (Seconds): 0부터 59 사이의 값분 (Minutes): 0부터 59 사이의 값시간 (Hours): 0부터 23 사이의 값일 (Day of Month): 1부터 31..
- [ 언어·프레임워크/React.js ][React.js] React 개발, 더 쉽고 빠르게! React Haiku 소개 및 사용법2025-03-14 19:12:57React 개발, 더 쉽고 빠르게! React Haiku 소개 및 사용법반복되는 코드 작성에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면 React Haiku를 사용해보자! React Haiku는 React 개발 여정을 더욱 쉽고 즐겁게 만들어줄 유용한 도구 모음이다.1. React Haiku란?React Haiku는 React 개발자들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훅(Hooks)과 유틸리티(Utilities)를 제공하는 가볍고 깔끔한 React 라이브러리이다. 마치 시(詩)처럼 간결하고 아름다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2. 주요 기능다양한 훅 제공:useClipboard(): 클립보드에 데이터를 복사하는 훅useHover(): 마우스가 특정 요소 위에 있는지 감지하는 훅유용한 유틸리티 제공:F..
- [ 언어·프레임워크/React.js ][React.js] 컴포넌트 내부 vs. 외부 함수 정의: 성능 최적화 가이드2025-03-12 15:31:22React 컴포넌트 내부 vs. 외부 함수 정의: 성능 최적화 가이드React 컴포넌트를 개발할 때 함수를 어디에 정의하는 것이 좋을까? 컴포넌트 내부와 외부 각각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은 성능 최적화와 코드 유지보수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포넌트 내부와 외부 함수 정의의 차이점과 최적화 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1. 컴포넌트 내부 함수 정의컴포넌트 내부 함수는 컴포넌트의 상태(state)나 props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 코드 가독성을 높이고 컴포넌트와 밀접하게 관련된 로직을 한 곳에 모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nction MyComponent({ data })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 [ 언어·프레임워크/JavaScript ][Javascript] call(), apply()의 공통점과 차이점2025-03-01 23:13:34call(), apply()의 공통점과 차이점JavaScript의 apply()와 call() 메서드는 함수를 호출할 때 this 컨텍스트를 지정하고 인수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두 메서드는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인수를 전달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1. call() 메서드call() 메서드는 함수를 즉시 호출하면서 첫 번째 인수로 this 컨텍스트를 지정하고, 나머지 인수들을 순서대로 전달한다.문법: function.call(thisArg, arg1, arg2, ...)thisArg: 함수 내부에서 this로 사용할 객체.arg1, arg2, ...: 함수에 전달할 인수들.2. apply() 메서드apply() 메서드도 함수를 즉시 호출하면서 첫 번째 인수로 this 컨텍스트를 지정하지만, 인수들을..
- [ 언어·프레임워크/Java ][Java] 자바에서 Iterator를 사용하는 이유2025-03-01 21:40:001. 자바에서 Iterator를 사용하는 이유1. 컬렉션 순회 표준화자바의 다양한 컬렉션(List, Set, Map 등)은 내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각 컬렉션에 맞는 순회 방식이 필요하다.Iterator는 이러한 다양한 컬렉션을 일관된 방식으로 순회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즉, 컬렉션의 종류에 상관없이 hasNext()와 next() 메서드를 사용하여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예제 코드Iterator를 사용하면 List, Set 등 다양한 컬렉션을 일관된 방식으로 순회할 수 있다.import java.util.*;public class IteratorExample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 list =..
- [ 언어·프레임워크/React.js ][React.js] React에서 useRef를 활용한 안정적인 소켓 통신 방법2025-02-28 12:58:03📌 React에서 useRef를 활용한 안정적인 소켓 통신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다루려면 WebSocket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React에서는 보통 useEffect를 사용해 소켓을 관리하지만, 잘못된 방식으로 사용하면 불필요한 소켓 재연결, 이벤트 리스너 중복 등록, 메모리 누수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useRef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기존 코드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import { io } from "socket.io-client";const ComponentName = () => { const [socketState, setSocketState] = useState(null); us..
- [ 언어·프레임워크/React.js ][React.js] "Blocked aria-hidden on an element because its descendant retained focus." 오류 해결2025-02-28 11:13:30React-Bootstrap 모달 안에서 react-switch-input의 Switch를 클릭할 때 "Blocked aria-hidden on an element because its descendant retained focus" 오류가 발생하였다(그림 2 참조).🔍 원인 분석React-Bootstrap의 Modal은 aria-hidden="true"를 자동으로 설정모달이 열리면 배경 요소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aria-hidden="true"를 설정함.하지만 react-switch-input의 Switch는 내부적으로 focus()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이때, aria-hidden="true"가 설정된 요소 내에서 포커스를 가지는 컴포넌트가 있으면 오류 발생Switch가 포커스를 요청하는 경우Sw..
- [ 언어·프레임워크/Node.js ][Node.js] "객체에서 배열 VS 배열에서 객체" 변환, 누가 더 빠를까?2025-02-27 11:44:18배열과 객체 변환 성능 비교 실험1. 실험 개요JavaScript에서 배열과 객체 간의 변환 성능(수행 속도)을 비교하여, 두 가지 데이터 구조 간의 변환 작업이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2. 실험 방법2.1 테스트 환경JavaScript 런타임 환경Lodash 라이브러리 사용100,000개 항목의 데이터셋 사용2.2 테스트 데이터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셋을 준비했습니다:객체 배열(raw1): 각 요소가 5개의 속성을 가진 객체인 배열2차원 배열(raw2): 각 요소가 5개의 항목을 가진 배열인 배열2.3 테스트 코드const _ = require("lodash");// 객체 배열 생성const raw1 = Array.from({ length: 100000 }, (_, i) => ({ va..